저희 회사가 일본 스팸메일 차단 시장에 이제 본격적인 뿌리를 내리게 되었습니다. 작년 S/W 위주의 스팸차단 솔루션 수출에서, 금년에는 일본의 암펠이라는 하드웨어 유통 업체를 통하여 저희 회사의 스팸메일 차단용 어플라이언스 제품 (일본 제품명 : 스팸와쳐)을 판매 합니다.
이제 저희 회사의 일본내 판매 파트너 회사가 3군데로 늘었습니다.
사진은 어제 있었던 암펠과 저희 회사의 조인식 입니다.
저희 회사가 일본 스팸메일 차단 시장에 이제 본격적인 뿌리를 내리게 되었습니다. 작년 S/W 위주의 스팸차단 솔루션 수출에서, 금년에는 일본의 암펠이라는 하드웨어 유통 업체를 통하여 저희 회사의 스팸메일 차단용 어플라이언스 제품 (일본 제품명 : 스팸와쳐)을 판매 합니다.
이제 저희 회사의 일본내 판매 파트너 회사가 3군데로 늘었습니다.
사진은 어제 있었던 암펠과 저희 회사의 조인식 입니다.
컴퓨터 바이러스는 마이크로소프트 워드나 엑셀과 같이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일종이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은 다른 유용한 프로그램들과 달리 자기 복제를 하며, 컴퓨터 시스템을 파괴하거나 작업을 지연 또는 방해하는 악성 프로그램이다.
악성 프로그램에는 컴퓨터 바이러스 외에도 웜, 트로이목마 등이 있다. 컴퓨터 바이러스에 '바이러스'란 이름이 붙은 것은 컴퓨터 바이러스에 생물학적인 바이러스와 같은 특성인 자기 복제 능력이 있기 때문이다.
컴퓨터 바이러스는 생물학적 바이러스와 그 성질은 같으나, 감염 대상이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파일이라는 점이 다르다.
따라서 감염시 원본 프로그램 혹은 데이터 파일에 바이러스 코드를 붙이거나 겹쳐 쓰기를 한다.
컴퓨터 바이러스는 일종의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사용자 몰래 자신을 다른 곳에 복사하는 명령어를 가지고 있어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 혹은 바이러스 코드라고 한다.
예전에는 바이러스 프로그램이라는 말을 사용했으나 매크로 와 스크립트를 이용한 바이러스들이 많이 나타남에 따라 바이러스 코드로 그 의미를 확장시 키게 되었다.
컴퓨터 바이러스의 또 하나의 특징은 실제 바이러스와 비슷하게 대부분 부작용이 있다는 것이다.
감기 바이러스가 인체 내에서 증식만 하는 것이 아니라 감기를 일으키듯이, 파일에 손상을 주거나 하드디스크의 정보를 파괴하는 등 부작용을 일으킨다.
최근에는 시스템 롬 바이오스(System ROM BIOS)가 저장되어 있는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의 정보를 파괴 하는 기능을 가진 바이러스들이 나타나 시스템의 작동 불능 상태를 만드는 경우도 있다.
컴퓨터 바이러스에 위험 딱지가 붙어다니는 것도 이러한 부작용 때문이다. 그러나 모든 컴퓨터 바이러스가 부작용이 있는 것은 아니다. 자기 복제 능력만 가지고 있는 것도 많다.
주요 위험 바이러스
ㆍI-Worm
요즘 들어 많이 문제가 되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빠른 전파력이 특징이다.
외국에서 발견됐다는 보고가 있은지 몇시간이면 국내에서도 발견되기도 한다.
II-Worm 즉, 인터넷 웜이라고 하며 메일 프로그램을 이용해 전파된다. 보통 메일 프로그램의 주소록을 뒤져 주소록에 포함된 모든 사람들에게 웜이 첨부된 메일을 자동으로 보낸다거나, 아직 답장하지 않은 것만 골라서 보내기도 한다.
단순히 웜이 첨부된 메일만 보내어 인터넷 등의 속도나 시스템에 무리를 주는 것 뿐만이 아니라, 특정 파일을 0 바이트로 만들거 나 재부팅하면 하드 디스크를 포맷하고, 사용자 정보를 빼내가는 등의 특별한 증상도 많다.
I-Worm은 모두 메일에 웜을 첨부하여 보내는데 모두 동일한 이름이여서 사용자가 조금 관심을 가지면 첨부파일이 웜인지 금방 알 수 있다. 그러나 최근 발견된 웜은 메일 보낼 때마다 랜덤하게 이름을 달리 하여 보내기 때문에 사용자가 쉽게 눈치를 못채는 경우도 있다.
ㆍ트로이목마
윈도우 트로이 목마 프로그램은 해커가 해킹을 시도하기 위해 일반적인 프로그램으로 위장하거나, 실행코드 형태로 다른 프로그램의 내부에 존재한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일단 실행하게 되면 백도어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해커는 언제든지 해당 컴퓨터에 침입할 수 있게 된다.
윈도우용 트로이 목마는 모두 서버/클라이언트 모델로 설계되어 있다. 공격자는 침투할 컴퓨터에 클라이어트 프로그램을 설치해야만 해킹이 가능하다.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접속되면 공격자는 침입 컴퓨터의 모든 권한을 갖는다.
ㆍ도스 바이러스
ㆍ윈도우 바이러스
ㆍ매크로 바이러스